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20대초반 남친은 - 익명 심리상담 커뮤니티 | 마인드카페
알림
black-line
비공개_커피콩_아이콘비공개
·8년 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20대초반 남친은 20대중반. 남친어머님이 제가 직장이 별로라고 연애를 반대하셔서 몸과 마음이 힘든상태입니다. 몇달전 남자친구 사촌형이 결혼을 하게되었다는 소식을 어머님이 들으셨는데 여자가 8살이 더 많아서 '연상은 안된다'라고 하셨다는데 남자친구가 '뭐 연하도 안되잖아'라며 말했다고하더라구요. 그래서 어머님께 아무말도 못하는 그런아들은 아니구나 싶었는데.. 며칠전에 어머님이 저희 둘 궁합을 보시곤 처복이 없진않다고 허락해주시는 분위기로 흘러가더라구요.. 그래도 썩 좋지않은 기분과 우울함에... 남자친구에게 "내 직업이 좋고 집안도 빵빵했으면 바로 허락해주셨을텐데..." 라고 했더니 '그정도 속물은 아니다' 라고하고 "궁합이 안좋았으면 지금보다 더싫어하셨겠네. 완전히 끊어놓으시려고 그런거아닌가 모르겠다"라고하니 '옆에서 몇년을 봐왔는데 그러실분아니다'라고 어머님편을 들더군요. 위로해주기도 하고 어머님이 노망이 나서 그렇다는둥 제편도 들어주기는하는데.. 기분은 안풀리고... 계속 자기만 믿고 따라와주면 안되겠냐고만 하고... 제가 지금 너무 예민하고 날카로운걸까요...? 믿고 따라가도 될까요?
지금 앱으로 가입하면
첫 구매 20% 할인
선물상자 이미지
댓글 6가 달렸어요.
커피콩_레벨_아이콘
fantastic
· 8년 전
조금 예민한 상태신 것 같아요. 제가 두분 사정을 깊게 알진 못하지만 제3자가 봤을때 남자친구분 발언은 그렇게 어머님 편이라고 할것까지도 없는것같아서.. 근데 개인적으로는 남자친구가 여자분을 정말 너무 사랑해서 가족과 안보고 살게 아니라면 남자분만 믿고 따라가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우리나라 통념상 며느리되실 님은 계속 시어머니께 끌려다녀야하고 남자분은 언제 그런말을 했는지 잊어버리거나 문제를 아얘 모를수도 있죠. 세상에 좋은 시어머니도 많을텐데 굳이 날 싫어하는 시어머니랑 얼굴보고 살거라면. 저는 아무리 좋아해도 결혼은 다시 생각해볼 것 같아요. 글쓴님이 좀 강경하게 말하고, 나를 어머니에게서 스트레스 받지않게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할거냐고 구체적으로 적어달라고 해보세요.
비공개_커피콩_아이콘
비공개 (글쓴이)
· 8년 전
@fantastic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였나봐요. 결혼은 말씀해주신 질문에 답을받아보고 다시 고민해봐야겠네요 :) 늦은시간에 답해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커피콩_레벨_아이콘
mtr36
· 8년 전
결혼을 다시 생각해보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시어머니와 갈등이 생길 때 남편은 제3자입니다. 내 편이 되어줄거란 기대는 정말 어리석은 생각이구요.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갈등은 전적으로 양자간의 문제라고 생각하시고 내가 그것을 풀어갈수 있는가를 생각해보시고 결정하셔야 합니다. 결혼후에 하녀취급, 친정비하, 아들 앞 길 막은 년, 별볼 일없는 주제에...등등 온갖 막말을 들어도 한 귀로 듣고 흘릴 수 있는 강한 멘탈의 소유자시면 상관없겠죠.
비공개_커피콩_아이콘
비공개 (글쓴이)
· 8년 전
@mtr36 제가 풀어가야할 문제 인거겠죠... 믿고 따라가기만 하면 안되는거겠죠. 정말 사랑하는데 어떻게 이 문제를 좋게 해결할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커피콩_레벨_아이콘
mtr36
· 8년 전
흔히 '결혼은 현실이다'라고 말하는데 당사자들은 낭만적으로 사랑만 있으면 다 극복된다는 착각을 합니다. 하지만 결혼도 엄연히 법적 효력이 있는 계약관계라는 점을 간과하면 안돼죠. 시부모의 과도한 개입도 혼인파기의 귀책사유가 됩니다. 결혼전에 당돌해 보이시더라도 본인이 시어머니와 단판을 짓고 우려되는 부분을 해결하셔야 합니다. 사이가 나쁜 친구사이에서 화해***는 일도 어려운데 고부갈등을 남편이자 아들이 해결해줄거라는 막연한 기대는 나중에 후회와 원망만 생길뿐입니다.
커피콩_레벨_아이콘
antonio
· 8년 전
전적으로 양자간 문제라는데 동의합니다. 각자 가족에게는 중간에서 어느정도 조율해주면 좋지만, 그게 안되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남편 부인 관계만 없으면 남이 된다는 사실을 명확히 인식 시킬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