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전
비슷한 시기에 애를가져 결혼한 동서와 나.
아버님, 남편, 시동생 같이일하며 총책임은 저희남편입니다.
거기나여기나 그놈이그놈이고 똑같지만
저희 남편은 언제나 버는돈=투자해 또 들어갈돈, 버는돈=모두의돈
1년간 애낳는것까지 월급가져온거 1100, 그외는 축의금 700, 친정서도움+출산축하 200.
총 2000에 결혼하면서 50씩 1년 적금(다음해의 혹여나 위기상황을 위해 못깨고있었습니다.), 보험저축 20 800정도를 넣어
1200갖고 생활했습니다.
사업을 늘리는 통에 힘들었던거 압니다. 이해해요.
근데 기본적인 생활비는 있어야죠.
대충 쌀이며 김치야 갖다먹는다지만 무리지않아요?
친척한테 들어놓은 아기보험 내달란 전화도 쪽이 시럽지만 돈없어서 좀만기다려달란말..
우선은 일이나 시댁부터 처리하고 남는돈 우리집.
애낳고는 진짜 3만원도없어 애기장난감이며 옷이며 다 얻어썼습니다.
적금통장 보며 깨야하나 운적도 많아요. 그런데 다음해도 이럴까봐 못깨고못깨고.
그런데 가까이사는 동서보면 뭐든있어요.
활발한 남자아가 기면서 작아진 매트하나와 베이비룸... 좁지만 비싸서 못산 매트도 세개.
장난감 잠시뿐이라며 위안에 안사온 장난감들.
애낳기 전 뒤집기하면 꼭 사줘야지한 애기 질식사방지매트에 배게도 있고
10개 넘는 턱받이마저도 부럽네요.
동서역시 뭐 브랜드 계절 신발이 어쩠네 옷이 안맞아 큰것만 사왔네. 기차비 얼마밖에 안하네 등
저에겐 그저 먼얘기네요.
옷은 임신하며 산 옷을 그대로 입고있고 300일 가까이되어 신랑따라 큰맘먹고 6만원 염색비 나온것도 손부들부들.
맨날 단발컷 5만원씩 주고하던 저는 어디로 간건지 너무속상해요.
대체 왜 일은 제일 많이하고 바쁘면서도 돈은 쥐꼬리만큼 가져올까요...
지금 앱으로 가입하면
첫 구매 2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