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경쟁과 그에따른 결과는 - 익명 심리상담 커뮤니티 | 마인드카페[자살|고등학교|압박]
알림
심리케어센터
마인드카페 EAP
회사소개
black-line
비공개_커피콩_아이콘비공개
·5년 전
입시경쟁과 그에따른 결과는 어떤측면으로 보일수있는가? 입시경쟁은 실력계층으로 수험생이라는 그룹안에서의 질을따지려는것 이다. 실력계층이 효율성이 존재하는것은 부정할수없다. 그러므로 입시경쟁에서의 결과물은 각각 자신의 실력으로 맞춰져있다고 볼수는있다. 하지만 공정성을 따지지는 않았으므로 공정성의 척도에따라 윗말은 참과불이 나뉘어질수있다. 그리고 입시경쟁의 중요한문제는 학생과 사회이므로 각각 관점을 바꿔봐야한다. 학생의 관점은 당연히 좋지않다. 모든고등학교는 대학교에대한 압박을 받는다 그래도 예외는있지만 원리적으로 생각하면 고등학교의 명성은 대학교입학에 영향을받고 그에따라 지원받는 자금은 다를것이다. 그러므로 학교단체의 이익을 이끌려면 대학교입학의 압박이 불가피하다. 경쟁과도는 대체로 구성원의 질과 양으로 결정되어진다.구성원의 수가 낮을수록 시험에서 요구되는 양은 적어진다,구성원의 수가 높을수록 다양한 실력이 존재하니 요구량은 높아진다.그리고 질이 낮을수록 경쟁은 평등화에 가까워지고 질이 높을수록 경쟁은 극단적이다,질이 높다는뜻은 추구할가능성이 높으므로.그러므로 경쟁과도는 학생이 보기에는 시대에 따라 다르다. 학생의 시선에서 사회를 바라볼때,사회에서 요구하는 정형화된 방법은 대학을 입학하는것이다,그러니 요구하는바가 맞지않으면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시선이 크다. 그부정적인 시선은 구성원이 관여하는 그룹원의 개방성에따라 다르지만 애초에 고등학교에서 압박을 넣지않는가?그로인해 사회적낙인 효과로 인한 부수적인 정신피해는 생길것이다. 결과론적인 사고,학교에서의 결과편향은 심각하다 객관적인 "등급"이라는 자료를 갖고 학생의 가치를 측정하려할것이다,그로인한 경쟁심과 불안감은 학생을 완벽주의자로 내몰수있을것이고 정신적위험성이 도드라진다. 자기성찰의 결여,국민의 기초교육은 학교에서 배운다 그런데 중요한 학교에서 요구하는 가치관은 터무니가 없다.학생들에게 왜 해야는지 왜그것을 추구해야하는지 알려주지않고 시험중심인 지식을 피상적으로 배울뿐이다.그리고 가장중요한 토론형식을 따르지않는다는것 교육자와 소통이 별로없다는뜻이다 그뜻은 가치관의 좁혀짐으로 이루어지고 다른관점을 성찰하기힘들다는 것으로 예상할수있다.또한 교육자뿐만아니라 학생들 사이에서도 진지한대화는 기피하는것으로 여겨지기때문에 이런결과가 나타날수있다.심지어 결과론적인 교육자가  악영향을 끼칠수도있다는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자는 낮은책임감과 사무적인태도가 학생의 자기성찰결여로 이루어질수있다. 그렇다면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입시교육열의 과도는 10대 청소년의 자살률과 학교생활만족도 하락과 정신건강피해,출산률 하락,인력자원 손실,학벌주의,공교육 중요성 하락 이익은 확고한 실력계층,인력자원 개발,전체적 교육질 증가 경쟁사회가 지속되는동안은 결과론적인 사고는 줄어들지않을것이다. 그러나 극단적인 발전을 원한다면 평등적인 사회가 극단적인 발전을 이루어지게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바꿀수있다면 애초에 입시가아니라 직업에대한 실력계층이 존재해야한다 학생들에게 결과편향적인 틀을 씌우지말아야한다. 그학생들에게 선택할수있는 가치관을 주어져야지 되려 교육자가 씌우는건 형편없는일이다. 이글이 학생편향적으로 보일수는있으나 학생의 다음이 교육자가 아닌가?
따옴표

당신이 적은 댓글 하나가
큰 힘이 될 수 있어요.
댓글을 한 번 남겨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