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게 다 힘들게 느껴져요 - 마인드카페[상담|고민|스트레스]
알림
심리케어센터
마인드카페 EAP
회사소개
뒤로가기
사연글
일반 고민
커피콩_레벨_아이콘jooho401
일 년 전
모든게 다 힘들게 느껴져요
안녕하세요. 23살 여자이고 현재 일본 유학 중인 대학생입니다. 어느 분야로 고민을 말해야할지도 모르겠어 일반 고민으로 올립니다. 심한 우울감을 처음 느끼게 된 건 21살 일본에 있을 때 였습니다. 코로나로 1년을 일본에 발이 묶여있었던 데다가 입시에 대한 고민으로 매일매일이 우울했습니다. 유학을 시작한 것에 대해 후회를 하면서도 가족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꼭 해야만 한다는 압박감에, 밥을 먹다가도 공부를 하다가도 아침에 눈 뜨고 밤에 자기 전에 눈물이 났습니다. 무언가를 하면 금방 체력이 떨어졌고 의욕도 나지 않았고 두통도 심해 병원도 갔습니다. 사람과의 접촉도 줄어들다 보니 저는 말을 더듬는 버릇이 생겼고, 무언가 말을 할 때는 순서가 뒤죽박죽이거나 상대방이 바로 이해하도록 말을 하질 못합니다. 현재 아버지께는 일절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고, 홀로 작은 가게를 운영하시는 엄마께서 큰 돈을 붓고 계시는데 그 돈으로 유학을 하고 있는 제가 엄마의 짐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러나 가족의 기대는 제 숨통을 조이는 거 같아 짜증이 납니다. 이런 고민을 말할 곳도 없었습니다.. 친구들에게 입시때문에 하소연을 하는 것도, 상대방이 지겨워할까봐 도중부터는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입국금지가 풀려 2월에 1년 만에 한국을 왔지만, 한국에서도 편히 지낼 수가 없었습니다. 부모님은 이혼 하셨고 좋지도 않은 집안 형편에 학생때부터 좀 예민했는데, 유학을 시작하고 나서는 더 심해진 거 같다고 생각이 됩니다. 2-3월엔 괜찮은 거 같았는데 4월부터 스트레스를 받자 또 다시 하루하루가 무기력하고 내일과 미래가 기대되질 않습니다. 가족들이 하는 말에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고, 모든 안 좋은 일이 나에게만 일어나는 거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스트레스 탓인지 기억력도 매우 안 좋아졌습니다. 남자친구와 자주 싸웠는데, 항상 저는 불과 몇분 전에 제가 얘기했던 말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질문이나 말의 의도도 잘 파악하지 못하고, 논리적으로 제 생각을 말하질 못합니다. 생각을 해도해도 해야할 말이 생각나지 않고 그냥 다 제가 잘못한 거 같습니다. 생각해서 말하고 행동한다는게 상대방한테는 이기적으로 느껴졌더군요.... 나는 왜 이럴까 왜 이렇게 바보같을까 하며 자책을 했고 눈물만 나왔습니다. 그러던 중 제 자신에게 신체적으로 해를 가하기도 했습니다. 제가 너무 바보같고 싫어서 멍이 들도록 꼬집고 때렸었습니다. 요즘은 자해는 하지 않지만 잠에 잘 들질 못해 불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쉽게 눈물이 나오고 혼자 있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상한게 놀 때는 잘 놀면서도, 그 시간이 끝나면 바로 무기력해지고 무언가 해야할 것만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음.. 남자친구에게는 스트레스 받는 일에 대해 하소연은 합니다만, 혼자 너무 많은 생각을 해버립니다.. 상담은 받고 싶었으나, 내가 너무 별 거 아닌 걸로 지나치게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나? 싶기도 했습니다.. 아무데도 제가 편히 있을 곳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직장을 다니게 되어도 짊어질 짐이 많다고 생각되어서 별로 기대가 안되네요... 차라리 안 태어났었다면.. 하고 생각될 때도 있습니다. 읽어줄 분들이 계실진 모르겠지만 이렇게나마 하소연 해봅니다....
의욕없음두통불안불면스트레스우울
전문답변 추천 0개, 공감 3개, 댓글 2개
커피콩_레벨_아이콘
makeitout
일 년 전
우울증이 심해질수록 기억력이 떨어지고 뇌 기능이 저하돼요. 가능하다면 빨리 우울증 치료를 받길 추천합니다!
커피콩_레벨_아이콘
lemonday
일 년 전
사람이 스스로를 싫어하게 되는 이유는 원래 나는 이렇게 되어야할 사람인데 그러질 못했다고 상상속의 이상적인 자신과 지금의 자신을 분리해서 지금의 자신을 벌주려는 심리라고해요. 글쓴님은 환경에도 영향을 많이 받으시는것 같아요. 저도 비록 한달이지만 대학생때 일본 대학 기숙사에서 지났던 적이 있거든요. 그 때 친하게 지냈던 같은 학교 선배가 있었는데 그 선배는 일본어는 서툴었지만 성격이 워낙 활달하고 재밌어서 일본 친구들이 그 선배를 좋아했어요. 제가 통역을 해줬는데 저보다 그 선배를 찾더라구요. 저는 일드도 많이 봤고 일본어도 잘하니까 적응을 잘 할 수 있을줄 알았는데 귀국날이 다되어선 한국에 있을때처럼 노트북 화면만 보고있더라구요. 저는 그 선배를 보면서 타지 생활에서 제일 중요한건 개인의 성격과 친화력이라는걸 깨달았어요. 요즘은 특히 코로나 때문에 사람들이 더 폐쇄적인 성향을 띄기 쉬우니까 고립되기도 쉬운것 같아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는것도 중요하지만 나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것도 중요한 것 같아요. 저는 최근에 헤어스프레이라는 뮤지컬영화를 봤는데 주인공 여자애가 핸디캡을 뛰어넘고 가고싶은 길을 개척해나가는걸 보니 기운이 나더라구요. 글쓴님도 스스로에게 동기부여가 되는 방법들을 이것저것 찾아보시면 도움이 될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