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전
좀 민감하고 예민한 문제인데, lgbtq, 즉 성소수자에 대한 문제, 이슈 등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예전에 성소수자라는 개념이 생기고 나서 많이 생각하는건데 개인적으론 성소수자에 대해서 역겹다거나 더럽다거나 무조건적으로 배척한다거나 그런 생각은 없는데 아직 겪어본적 없고 주위에 그런 사람을 *** 못해서, 만약에 미래에 내 주위에 그런 사람이 있다면 그사람을 무조건 배척하진 않을것 같아요. 어색하긴 하겠지만 흔히 있는 일이 아니라서.
기독교인임에도 불구하고 성소수자를 무조건 배척하고 괄시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기독교에선 성소수자를 치료받아야 할 대상으로 보는데 개인적으론 뭐 굳이 자신이 성소수자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치료를 통해서 이성***로 돌아설수야 있겠지만은 반드시 그래야 한단 것도 아니고요.
무조건적으로 배척하는 사람도 싫어요.
하지만 저도 뭔가 그런 사람들에 대해서 어색하고 아직은 친밀하다고 해야할까 그런 감정이 아니에요. 근데 가끔가다 성소수자에 대해서 대변하고 그분들의 권익을 보장해주려는 단체나, 혹은 그걸 지지하는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성소수자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반감을 갖고 있거나 조금이라도 이상하게 보고 불편하게 보는 사람들을 무슨 20세기에 아직도 갇혀 미래를 *** 못하는, 과거에 갇혀있는 사람 취급을 하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마치 유럽이나 그런 선진국에서 성소수자에 대해서 관대하고 많이 받아들이고 있으니 아직 그걸 받아들이고 법제화하지 않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특히 동아시아권 국가들에 대해서 꽉막힌 노인네 취급하듯이 무조건 받아들여져야 하는걸로 생각하곤 그것에 대해서 아직 받아들일 준비나 불편해하는 사람들을 오히려 배타주의자, 차별주의자로 몰아세우고선 본인들의 의견을 관철시켜요.
성소수자에 대한 결혼을 법적으로 허용하는거나 그런건 예전에 프랑스에서 성소수자의 결혼이 허용되지 않았을 시기 결혼은 허용하지 않지만 대안으로 나왔던 PACS 제도였나 이름이 기억이 안나는데 여튼 그런거나 좀 더 점차적으로 적용되고 사람들의 의식이나 사회통념이 변할때까지 점차적으로 진행되고 성소수자의 권리가 법적 차원에서 좀 더 넓게 포용될 수 있을때까지 좀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일부 성소수자를 지지하시는 분들은 아직 그런것들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에 대해서 심하게 반감을 드러내고 아직 그것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해서 시대에 뒤떨어진 취급 하는것도 성소수자를 무조건 배타적으로 생각하는거나 다를바 없다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지금 앱으로 가입하면
첫 구매 20% 할인